계측 제어 시 발생되는 일반적인 실수
계측 제어시 발생되는 것
현장에서 사용하는 밸브, 트랜스미터, 매니폴드, 멀티 미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즉, 문제 해결을 할때 필요한 계측기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계측기의 목적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만들기위해서 교정하기 위한 것들이다. 여기서 말씀 드릴 내용은 운이나 시행 착오 검사로 결함을 찾는 것이 아니라 역량에서 발휘되는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며 모든 단계들을 단계 단계 밟아가면서 올바르게 설명 할 수 있는 입증 된 능력에 의해서만 드러납니다.
교정 작업 중 일반적인 실수들
시각적으로 결함을 찾으려고 하며 멀티 미터로 측정하는 것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스템의 다른 측정 값 확인을 무시하며, 예를 들어서 압력 게이지 또는 또다른 계기들을 무시하곤 합니다. 간혹 루프다이어그램, 즉 도면을 잘못해서 실수를 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측정을 수행 할 때 시스템의 잘못된 위치에 있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멀티 미터 사용으로는 DC가 아닌 AC를 측정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흔히 우리가 손쉽게 현장에서 만질 수 있는 것들은 트랜스미터와 매니폴드 밸브들인데요. 여기서도 실수가 유발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절차를 따르지 않고 문제점에 대한 이해없이 그냥 머리에서 기억되는데로 손이가는데로 밸브 동작을 하고는 합니다. 이럴경우 현장에서 트러블슈팅이 어렵기 때문에 꼭 절차에 맞도록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초보적인 실수를 하는 경우는 역시 밸브 조작 방법입니다. 간혹 잠궈야할 때 열고, 열어야할 때 잠구는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인가면 밸브가 반대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흔히 발생되는 일입니다.
건설 기준
모든 구조는 안전해야하며 기술자 즉 현장작업자 또는 엔지니어에게 불필요한 위험을 만들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전기, 화학, 열, 압력 등 일반적으로 안전 위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전하지 않은 공사는 발견시 시정조치를 해야하며 그에 맞지 않을 시 문제를 삼을 수 있습니다. 20볼트 초과하는 모든 전원은 과전류 보호되어야하며 모든 관련 와이어 연결은 우발적인 접촉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합니다. 20볼트가 초과하는 전원들은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전원에 배선에 적절한 색상을 사용하고 모든 금속 전기 인클로저는 안전을 위해 접지에 결합되어야 합니다. 부착 된 전선은 손가락으로 가볍게 당겨도 견딜 수 있어야하며, 와이어 절연은 손상되지 않아야하니 취급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올바른 도구를 사용해야하며 여기에는 가능할 때마다 조정 가능한 렌치 대신 고정크기 렌치를 사용하며, 규격에 맞는 도구 즉, 공구를 사용해야 업무의 능률이 올라가고 무엇보다도 안전과 즉결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튜브 및 파이프 연결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합니다. 간혹 NPT나사산, PT나사산을 잘못 알고 있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
지금까지 현장에서 사용되는 계기제어장비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현장에서는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마음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면 좋을 것 같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안전을 한번 돌아보고 준의깊게 보시면 좋겠다. 특히 많이 많이 만져보는 것들이 실력이 향상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이나 그런 경우가 잘 없기 때문에 어려운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할 것은 안전, 두번째도 안전, 세번째도 계속해서 안전을 가장 유의하여 작업이 필요합니다.